분류

레이블이 리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리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10월 4일 수요일

태블릿 YTMUSIC, 카카오톡, 분할화면 기능 안될 때 해결 방법

 개요 

'SAMSUNG TAB A8(2022)'에서 'Alldocube iPlay 50 Mini Pro Helio G99'로 넘어가면서 뭐 중요한 문제가 생겼습니다. 태블릿의 주 용도 중 하나인 음악 감상하며 가사를 볼 때 사용하는 분할 화면이 지원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카카오톡의 기능 중 채팅 목록과 채팅을 나눠서 보는 스플릿 분할 화면이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기존과 같은 1080p 해상도인데 안 될 이유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안드로이드 개발도 2012년에 해봤기 때문에 기억을 되살려 개발자 도구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어렵지 않게 변경할 수 있었습니다. 

본래는 안드로이드 콘솔(ADB)와 드라이버를 받으면 쉽게 해결되지만 자칫 복잡해질 수 있어 덜 복잡한 방법으로 기술하겠습니다. 


준비물 

WINDOWS PC

DATA전송용 USB 케이블 

태블릿 

태블릿 과 pc를 usb로 연결 


1. 태블릿 환경구성 

태블릿 정보에서 빌드번호를 연타하여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 해 주세요 

개발자 옵션에서 usb 디버깅을 활성화 해주지 않으면 pc에서 ADB 를 통해 연결할 수 없습니다.  


2. PC 환경구성

안드로이드 STUDIO 다운로드 <--- 다운로드 링크 클릭 

설치는 뭐 인스톨이야 다음 다음 하시면 다 되는 거 아시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한 후 신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프로젝트 생성방법 <-- 신규 프로젝트 추가 방법 클릭 

뭐 CREATE A NEW PROJECT와 대충 아무거나 누르면 되지만 까다로운 분이 계실까 봐 링크 첨부합니다.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인터넷으로 파일들을 마구 받기 때문에 열릴 때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다음 화면이 보일 때까지 일단 기다리세요.

개발자 도구 화면
저는 이 화면이 완전히 보일 때 까지 다운로드를 포함 약 30초 걸렸습니다. 걸리는 기간은 인터넷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오른쪽에 장비창이 보이지 않는다면 상단 메뉴에서 
Tools 클릭 > Device Manager 클릭을 하시면 됩니다. 

주요 확인사항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기본 드라이버로 선택된 장치라면 위 화면에서 장치의 정식 명칭이 나오고 연결된 상태를 알리는 녹색 불이 켜집니다. 장치 명칭이 이상하고 녹색불이 켜지지 않는다면 드라이버가 맞지 않는 것 입니다. 
드라이버는 대게 os 개발 도구에 포함되어있으므로 sdk를 받으면 해결되는 편 입니다. 아래를 쭉 따라가세요 

SDK 및 Platform-Tool다운로드 

장치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 'ADB'로 접속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장치 드라이버를 갖고 있는 'SDK'를 다운 받아야 합니다.

위 그림을 클릭해서 확대해보시고 순서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Tools -> SDK Manager 클릭 

Search 입력난에 SDK 입력 -> Android SDK 를 차례로 선택하시고 태블릿 os에 맞는 버전을 선택 후 Apply를 누르시면 됩니다. 


그 다음으로 SDK Tools 에 들어가셔서 Android SDK Platform-Tools선택 후 Apply 한 후 Android SDK Location 복사해주세요 


windows + r 키를 누르시고 붙여넣기 하신 후 엔터 치면 입력된 경로로 이동합니다. 


위 그림처럼 platform-tools 폴더에 들어가시면 adb.exe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로서 준비는 끝났습니다. 

3. UI  크기 조절하기 

이제 powershell 창을 열어 adb.exe 파일이 있는 위치로 이동 합니다. adb 파일이 있는 위치를 복사해주시고 powershell 창에서 'cd 경로'  이런식으로 cd라는 커맨드에 한칸 떼고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순서 
windows + r -> powershell -> 엔터 
붙여넣기 -> 엔터 
dir -> 엔터 

해당 위치에 adb.exe 파일이 있는지 확인

이제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density 명령을 통해 화면 크기를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커맨드는
.\adb.exe shell wm density [수치]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커맨드가 정상 작동하면 위 영상처럼 태블릿의 화면이 계속 변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사이즈를 찾았다면 글꼴이 너무 작거나 안 맞을 수 있으므로 해당 사이즈도 변경해주어야 한다. 

시스템 폰트를 본인에 맞게 조정한다.

powershell 창에서 
.\adb.exe shell settings put system font_scale [배율]f 를 입력

모든 조정이 끝났으면 .\adb.exe reboot 명령을 통해 재부팅을 수행한다. 

아참. Alldocube iPlay 50 Mini Pro Helio G99의 경우 이렇게 적용 할 경우 소프트웨어 제어버튼이 2개 나타나는데 런처를 설치하면 해결 됩니다. (저는 마이크로소프트 런처를 사용합니다.)

=====================================================
Density를 종종 해상도라고 하는 분들이 계신데 해상도는 size 라는 별도의 파라미터이고 
DPI라고 말씀하시는 분도 계신데 DPI 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인 인치당 도트의 수입니다. 

Density 는 밀도라는 영문 단어입니다. 논리적으로 DPI와 매유 유사합니다. 하지만 엄연히 다른 수치입니다. 되도록 구분해서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상입니다.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긴 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9월 10일 일요일

2023 한국 내 판매 zwift 장비 정리

 개요 

magene T300 모델로 실내 트레이닝을 한지 만 2년이 지났습니다. 실내 운동 장소 개혁을 시작하면서 좁은 공간에 싸이클을 쳐넣다보니 공간이 부족하고 , 운동하면서 TV를 볼 수 없기에 기변을 할 생각으로 조사를 하다보니 2020년 조사와는 가격도 트레이너 종류도 많이 바뀌어 한번 더 총 정리를 해야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반적인 성인용 사이클은 150cm이상의 크기를 갖고 있습니다. 실내 210cm의 좁은 제 운동방에 너무 큰 공간을 차지하고 있어 작은 사이즈로 변경하고 싶은 욕심에 인도어 바이크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조사하는 김에 2023년 에도 괜찮은 트레이너들이 나온 것 같아 조사를 해 보았습니다. 


트레이너 형태 

트레이너는 현재 4가지 형태로 나뉘고 있습니다. 자전거의 스프라켓 연결을 대체하는 직결식 방식, 평로라형, 바퀴연결식(고정식), 그리고 이전엔 없던 실내 트레이너 항목이 국내에 많이 생겼습니다. 



국내 구매 가능한 zwift 트레이너 목록 

해외에서 판매되는 제품들이 솔직히 좋은게 많지만 국내 판매 제품도 제법 많아서 국내만 조사해보았습니다. 그리고 erg 트레이닝이 가능한 제품만 정리했습니다. 네이버와 다나와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국내 제작 회사중 은성헬스빌, 멜킨스포츠 등이 다양한 트레이너를 보유하고 있는데 zwift와 연계된 재원을 공개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쉽습니다. 실내 피트니스 바이크가 조금더 경사로 20%정도 지원되는 제품이 언젠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ZWFIT가 이전에는 파트너사들의 장비를 숍에서 판매했었는데 ZWIFT허브라는 제품이 나오면서 이제 자기네 제품만 올려놨네요 ㅎㅎ 16%경사 지원. 가장 잘 팔리는 무난한 가격대와 성능을 타겟팅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2020년에는 평로라와 휠온 제품이 많았는데 최근은 국내에 팔지 않는 것 같습니다. 

Zwift 연동 바이크라고 쓰려면 상세스펙을 적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여러 고민 끝에 시뮬레이션 성능은 떨어지지만 그래도 경사 10%라면 괜찮다고 생각해서 장비를 구매하고 조립해보았습니다. 처음 도전했던 탁스 보텍스 제품은 7%경사 시뮬레이션 이었거든요; 충분히 운동 됩니다.

해당 장비 조립영상입니다. 
페달과 안장에 대한 변경을 해봤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년 5월 15일 일요일

자전거 캐리어 구매 후기 (thule 993 outway platform2 )

개요 

약 3년간 자전거를 주로 차 내에 뒷자리를 폴딩해서 싣고 다녔습니다.  그런데 최근 같이 타는 사람이 생기다 보니 자전거 2대를 겹쳐 놓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 때문에 자전거 캐리어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접이식 자전거를 쓸 때는 없던 현상이기도 합니다.  

접이식이 아닌 로드, mtb 등을 자전거를 차 내에 싣고 다닐 경우 생기는 문제점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가) 차내가 오염된다. (바퀴자국, 긁힘 발생 ) 

나) 자전거에 긁힘이 생기거나, 뒷 드레일러 정렬이 어긋난다. 

뒷드레일러 정렬은 공구 하나로 손쉽게 조절이 가능하기에 문제가 아니지만. 온갖 곳에 발생하는 스크래치와 바퀴자국은 스트레스를 좀 받게 되었습니다.  또한 그간 혼자 나갈때도 자전거를 차에 싣게 되면 발생하는 뒷좌석 폴딩과 정리의 귀찮음 역시 해소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1. 자전거 캐리어 종류  

자전거 캐리어 종류는 지붕형, 후미형, 견인볼형, 픽업 트럭의 트럭베드형으로 나뉩니다. 트럭베드형은 픽업 트럭에만 해당하므로 나머지 3가지에 대해 기술해보겠습니다. 

자전거 설치 위치별 케리어 형태
대충 발그림으로 설명해보면 위와 같습니다.

1) 지붕형 : 루프렉에 가로바를 설치하고, 그위에 자전거 캐리어를 얹는 형태

다나와 지붕형 케리어 캡처

 가로바와 루프 케리어 2가지를 모두 구매해야 하며 2가지 모두 인증제품은 약 40만원대의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합계 80만원이 최소이며 최근 인증받지 않은 중국산으로 구매 할 경우 40만원선에서 모두 구매할 수 있습니다만... 이로인해 사고가 발생한다면 그 책임은 본인이 져야 하기때문에 선택하고 싶지 않습니다. 전동 흡착형 역시 같은 이유로 저렴하더라도 절대 사고싶지 않습니다. 

또한 158cm(차체높이) + 110cm(자전거) + 20cm(루프렉) 의  높이가 발생하므로 2.5m 통행 제한 도로를 지나갈 수 없게 됩니다. 


2) 트렁크형 : 트렁크에 줄을 이용해 상하 좌우를 고정 시키고 자전거를 거치하는 형태 

다나와 트렁크 캐리어 캡쳐

트렁크에 고정하는 형태로 다양한 제품이 나와있습니다. 트렁크에 견인 장치를 다는 것은 동일하지만 제품을 레일 위에 얹느냐 거느냐의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자전거를 걸었을 경우 후방 시야가 확보되느냐, 번호판이 보이느냐 의 여러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것도 신중하게 고르셔야 합니다. 

2,3,4대형 등 여러 대를 거치할 수 있는 제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캐리어의 무게와 자전거 2대의 무게를 거치할 경우 약 50kg의 중량이 발생하므로 실제 3대 이상의 자전거를 거치 할 경우 트렁크의 변형은 감수해야 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이 장치들 역시 안전 인증이 없다 보니 안전한 제품을 고르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3) 견인볼형 : 차량에 견인볼을 장착하고 그위에 케리어를 얹는 형태 

다나와 견인볼 캐리어 캡쳐

현재까지는 가장 안전한 형태이며 가장 편리한 형태의 케리어로 보입니다. 인증 제품들은 보조번호판을 달 수 있는 위치와 방향지시등까지 연동되는 등 다양한 안전을 지원하고 견인볼이 하중을 약150kg 가량 견딜 수 있게 설계되어 나오기 때문에 여러대를 싣더라도 가장 안전한 형태입니다. 하지만 가격이 넘사벽 수준으로 인증된 제품은 100만원 + 토우바 장착비 120만원 합계 220만원이 최소라고 생각됩니다. 중국산 짝퉁으로 달경우에도 120만이 최소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케리어 고르기 

캐리어를 고를 때 기준으로 삼았던 것은 몇 가지 있습니다. 

너무 비싸지 않을 것, 

항상 장착해 놓을 수 있을 것.

안전할 것.  

번호판을 가리지 않을 것. 깜빡이를 가리지 않을 것.

디자인이 좋은 제품. 

정도의 5가지 규칙이었습니다. 자전거를 좋아하는 저는 평일 퇴근 시간에도 종종 타곤 합니다. 따라서 상시 장착 해 놓을 수 있는 제품이 좋고. 상시 장착 해 놓으려면 디자인도 무난해야 했습니다. 고속도로를 달려 특정 구간을 가는 경우도 있기에 안전해야 했으며, 번호판을 가리는 제품은 불편했습니다. 따라서 위 규칙을 기반으로 케리어를 조사해보니 100만원 이하의 제품이 몇 개 조사 되었습니다. 


저렴한 가격대의 제품들도 있지만 결론은 관세를 포함해 약 73만원에 툴레 993 제품을 구매하기로 했습니다. 이유는 역시 안전 인증이나 테스트를 거치지 않은 제품은 사고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또한 장착 해놓고 쓰기엔 디자인적 문제도 너무... 


3. 구매 

구매는 상당히 애먹었습니다. 국내 툴레 에서는 993 제품이 수입되지 않는 상황이고, 중고는 중고대로 부속이 없거나, 프리미엄을 붙여서 파는 등의 판매자가 많아서 가격이 전혀 싸지 않은 것이 단점이었습니다. 또한 툴레 수출 정책상 한국에는 한국 툴레를 거치지 않은 제품은 판매하지 않기에 해외 직구 또한 막혀있어 어쩔 수 없이 배대지를 거치거나 구매대행을 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해외 직구 사이트에 한국에서 받을 수 있냐는 문의에 bike24, ebay 등 메이저 사이트부터 구글 검색결과 나오는 2page 까지 툴레 정책 때문에 한국에 발송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4월 초 부터 993의 국내 수입을 기다렸지만. 정식 수입이 되지 않고 5월 수입 여부도 불투명하여 5월 초에 구매대행을 이용하게 되었습니다. 


4. 배송 

배송은 약 1주일 5월 3일 주문하여 5월 9일에 받게 되었습니다. 토요일에는 우체국 EMS가 배송 되지 않는 관계로 약 2일 정도를 더 까먹었습니다. 원래는 65만원에 무배 이벤트를 하고있는 11번가에서 사려고 했는데... 구매 후기가 없고. 일주일만에 받을 수 있다 해서 뉴욕직구 라는 사이트를 이용하였습니다. 시즌 인데 이걸 언제까지고 기다리고 있을 수 없어서요; 
 

5. 설치와 사용

출장이다 뭐다 일 때문에 배송 받은 툴레 993 아웃웨이 플랫폼2를 설치하는데 일주일이 꼬박 걸렸습니다. 이럴꺼면 그냥 우주패스 할걸 하는 후회도 약간 듭니다. 

설치는 툴레에서 제공하는 위 동영상을 보고 설치했습니다. 

제차는 niro 2018년식이라 동영상에 보이는 차와 상당히 유사한 형태여서 설치가 어렵지 않았습니다. 사용 또한 동영상에 보이는데로 하면 어렵지 않습니다. 혼자서 영상보면서 5분만에 설치가 완료 되었습니다. 

6. 사용 후기 및 장단점

제가 생각했던 것 과는 아주 약간의 겝이 있었는데요. 접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개인적으로는 뒷 창문을 가리지 않았으면했습니다. 따라서 아래로 접어보니 후방 카메라가 가려지는 위치가 됩니다. 


아래로 접었을 때
아래로 접었을때는 후방 카메라가 가려지는 것 이외에도 하나의 단점이 더 있는데, 트렁크 하단부에 무게가 집중되다 보니 트렁크를 열어둔 상태로 둘 수 없습니다. 트렁크를 열었을 때 고정되지 않고 닫힙니다. 

아래로 접었을 시 문제점
위 사진처럼 아래로 폴딩 시 백미러는 잘 보이지만, 후방 카메라가 완전히 가려집니다. 주차가 불편해집니다. 


따라서 이렇게 세워둔 상태로 짧은 고정대로 세워두는 것이 가장 편합니다. 

아래로 접지 않고 위로 장착했을 때
위로 장착한 경우 후방 카메라의 빨간 선 이외에는 모두 잘 보이는 위치가 되어 주차 시 편리합니다. 


자전거 거치 시 후방 시야
자전거를 거치했을 때도 후방 시야는 확보되는 편이라 운전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습니다. 

니로에 장착 후 자전거 1대 거치 
니로에 장착 후 자전거를 거치해보았습니다. 높이는 약 220cm 가량이 되어 2.1m 지하 주차장에는 들어갈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장점은 번호판과 방향지시등이 모두 뒤에서 보여 운전자 외에도 뒤에 오는 차량에 피해가 가는 일이 없습니다. 

자전거 2대 거치


자전거 2대를 거치해도 무난하게 잘 받쳐줍니다. 다만 자전거 2대를 거치 할 경우 안쪽에 거치하는 자전거 핸들이 왼쪽으로 오게 하여 변속기가 안쪽으로 가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전거 2대 거치 측면


기타사항으로는 거치대를 조립 한 채로 고속도로에서 140km 까지 주행해봤는데 약간의 풍절음이 들리는 것과 과속 방지턱을 지날 때 '딱딱' 거리는 소음이 발생하는 것 이외에는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다만 툴레 유투브에서 댓글로 확인한 결과 120km/h 까지만 주행하라 합니다. 

장단점을 기록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장점 : 
1. 차내를 오염시키지 않고 자전거를 이송할 수 있다. 

2. 견고하게 부착되고, 탈부착이 5분 이내로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3. 장착 이후에도 번호판, 깜빡이 등을 가리지 않아 뒤에 오는 차량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4. 탈부착을 자주 할 필요 없이 달아 놓고 다녀도 된다. 


단점 : 

1. 과속 방지턱을 지날 때 딱.딱 하는 소음이 난다. (장착을 잘하면 안나는건지 검토가 필요)

2. 자전거와 거치대에서 풍절음이 약간 발생한다. (음악을 켜면 안들리는 수준)

3. 니로에 장착 후 자전거 거치 시 약 2.12m 가 되는 관계로 하상도로 일부와 지하주차장 일부에 진입할 수 없다. 

4. 물통 케이지에 물통을 장착한 상태로 고정할 수 없다. 

5. 자전거를 거치한 상태로 트렁크 이용이 어렵다. (트렁크 여닫을 때 힘이 든다.) 

6. 자전거 거치 시 연비 하락 (기존 22.5 -> 17.5 약 5km/l 20% 하락)


기타 

자전거 거치후 야간 운행시
자전거 거치 후 야간 운행 시 날벌래 살인마로 변신합니다. 약혐이니 확대해서 보지 마세요 

자전거 1대 거치시
자전거 1대 거치 후 트렁크 개방은 성인 남성이면 할 수 있으나, 2대 거치시는 힘이 많이 들어갑니다. 트렁크 개방 후 고정까지도 1대 거치시에는 됩니다만.. 2대는 힘들어서 포기했습니다. 


이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니로에 대한 다른 글도 있습니다.

자전거 캐리어 구매 후기 (thule 993 outway platform2 ) 

2021년 10월 12일 화요일

첫 nas 구매 4. nas의 속도 향상을 위한 Link Aggregation을 지원하는 장비 정리 2021.10

 개요 

iptime nas4dual 제품을 구매한 이후로 여러가지 머리가 아플만큼의 정보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중 nas의 통신 속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부분은 바로 Link Aggregation이 되는 공유기나 switch가 되겠습니다. 

nas4dual은 기존 iptime 제품과 다르게 외장하드 모드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iptime 공유기에 들어있는 나스 가속 모드를 쓸 수 없습니다. 만들면서도 자기네 판매 상위에 있는 공유기와 호환성을 생각하지 않고 만든 것을 보면 참... 상생을 중시하는 회사구나 싶습니다. 

그런 관계로 현재 가성비 최고의 조합은 raid 도킹스테이션 + ip타임 나스가속 공유기 가 됩니다. 가성비를 좋아하는 저로서는 뼈 앞픈 실책입니다. 같은 30만원을 썼으면 최고의 조합을 얻을 수 있었는데 최악의 선택을 해버린겁니다.

하지만 이미 사서 데이터도 다 옮겨버린거 다시 옮기기도 귀찮고 데이터 이동 시간만 3일이 걸리는 관계로 포기하고 link aggregation을 지원하는 장비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회사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Link Aggregation은 3가지 명칭을 더 갖고 있습니다. 

LCAP, LAG 또는 IEEE 802.3ad 사람 해깔리게 말이쥬 


IPTIME

IP 타임에서는 간이 나스 가속을 하는 기능은 있어도 nas4dual 에서 필요한 듀얼 링크의 Link Aggregation 지원 공유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스위치 제품군에서만 존재 합니다. 
IPTIME QNA 질답 <-- 클릭 

단 2개의 제품만 보이는데 아무리봐도 상생을 너무 좋아하는 기업같습니다. 



TP-LINK 

티피링크는 지원해주는 제품이 가장 많습니다. 국내 판매되지 않는 제품이나 판매중이어도 공개 재원상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제품은 취소선을 그어놓겠습니다.. 
Archer C2300( V1 ) , Archer C5400( V2 )해외 , Archer C3150 V2해외, Archer C4000( V2 V3 )해외, Archer AX73 , Archer A20( V1 V3 ) 해외, Archer AX50( V1 ) 재원없음, Archer C3150( V2 ) 재원없음, Archer AX6000( V1 ) , Archer AX3000( V1 ) 재원없음, Archer A2300( V1 )해외 , Archer C5400X( V1 )해외

여기에서 약간은 주의해야 할 점이 바로 버전정보가 있다는 말이죠. 제품명만 보고 무턱대고 샀다가 지원이 안될 수 있습니다. 상품 설명을 보실 때 버전 정보를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혹은 상품 설명중 Link Aggregation 정보가 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국내 구매 Link Aggregation 이 지원되는 가장 싼 제품입니다. 



이 제품은 특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국내 v1과 다른 버전이 섞여있어 지원되는 판매자가 있고 그렇지 않은 판매자가 있습니다. 링크 정렬이라고 달아놨네요 


ASUS 

아수스는 홈페이지에 RT-A88U제품이 된다고 써있지만 국내에는 재원상 써있지 않기에 이것 역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사진을 첨부하지 않습니다. 

NETGEAR

넷기어에서도 홈페이지에 1개의 제품이 검색됩니다. R8500


Link Aggregation 이 지원되는 장비에 대해 저가부터 고가 제품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듀얼랜이 지원되는 nas 서버 사용자에게는 필수적인 제품이 될 것 같은데 가정용으로 나오는 제품 그리고 저가 제품은 없어도 너무 없네요. 

현실적으로 30만원으로 고속 스토리지와 고속 네트워크를 둘 다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은 iptime 간이나스 공유기+ raid 지원 4베이 이상 도킹스테이션이며  그 외에는 50만원 이상의 투자를 해야만 하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디스크 제조사인 마샬 도킹스테이션 5베이 + iptime AX2400M 같은 제품의 조합이 가성비상으로 최고가 아닐까 합니다. 만 이미 사서 데이터 이동까지 다 한거 어쩝니까. 티피링크 ax73 정도 하나 들여야겠습니다. 들였습니다. 


TP-Link AX73(AX5400)
TORRENT 속도와 5Gbps 무선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졌습니다. 
휴대폰 5g 측정 다운로드 244Mbps


torrent 속도 약 30MB/s
집 내에서의 업다운 속도도 빨라졌습니다. 
다운로드

업로드
80-95 사이를 꾸준히 내줍니다. (기존 64mbps) 


이상입니다. 즐거운 nas 생횔 되세요.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1년 10월 11일 월요일

첫 nas 구매 3. 안드로이드에서 동영상 자막보기

 개요 

지난 목요일 설치한 NAS에서 외부에서 미디어를 보다보니 자막이 보이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책을 기술해보겠습니다. 순서는 IPDISK 설정 -> MX플레이어 설치 -> CX 파일 탐색기 설치 및 설정 순으로 진행됩니다. 불필요하거나 너무 쉬운 부분은 그냥 생략하겠습니다. 


1. IPDISK 설정

IPDISK 설정법은 여러 분들이 공유하고 있으므로 대체하겠습니다. 

IPTIME NAS설정 <-- 궁굼하면 클릭 


2.MX플레이어 설치 

이 부분도 PLAY STORE 에서 그냥 MX 플레이어를 설치하면 됩니다. 하지만 검색하면 잡다한 앱들이 같이 조회 되기에 일단 화면을 첨부합니다. 

mx 플레이어
딱 위 사진과 같은 플레이어 명칭과 제작 업체 제품을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3. CX 파일탐색기 설치 및 설정 

CX 파일 탐색기 역시 설치는 동일 환경설정도 간단합니다. 

cx 파일탐색기
위 사진도 유사한 어플이 검색되는 관계로 딱 요거 다운받으라고 올려놓습니다. 

다음은 설정입니다. 설정도 어렵지 않고 인터페이스도 제법 쉽게 만들어져서 사용감이 좋은 앱입니다. 


일단 cx파일 탐색기를 구동하시고 네트워크 탭을 누르고 새 저장소를 클릭합니다. 
다음으로 본인의 ipdisk 주소와 FTP를 선택하시고 사용자명,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IPDISK 연동은 완료 되었습니다. 다음은 플레이어 설정입니다. 



다시 메인화면으로 돌아가셔서 오른쪽 위에 ... 을 누르면 위와같이 설정 버튼이 팝업됩니다. 



설정 창에 들어가면 동영상 플레이어에 체크되어 있는 부분을 해제하여 기본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하지 않도록합니다. 또한 위쪽의 기본앱을 눌러서 등록된 기본앱이 있을 경우 제거합니다. 


다시 메인페이지로 돌아가서 본인의 IPDISK를 눌러보면 폴더를 탐색하실 수 있고 이제 영상에서 자막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영상 파일과 자막 파일 

 다만 영상명칭과 자막의 명칭은 동일하게 (확장자 제외) 구성 되어있어야 합니다. 또한 자막 파일과 영상 파일은 같은 폴더 내에 있어야 합니다. 

구성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영상 파일 로드시 자막 파일이 같이 로드되어 나옵니다. 

이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