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레이블이 i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i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3년 10월 4일 수요일

태블릿 YTMUSIC, 카카오톡, 분할화면 기능 안될 때 해결 방법

 개요 

'SAMSUNG TAB A8(2022)'에서 'Alldocube iPlay 50 Mini Pro Helio G99'로 넘어가면서 뭐 중요한 문제가 생겼습니다. 태블릿의 주 용도 중 하나인 음악 감상하며 가사를 볼 때 사용하는 분할 화면이 지원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카카오톡의 기능 중 채팅 목록과 채팅을 나눠서 보는 스플릿 분할 화면이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기존과 같은 1080p 해상도인데 안 될 이유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안드로이드 개발도 2012년에 해봤기 때문에 기억을 되살려 개발자 도구를 받았습니다. 그리고 어렵지 않게 변경할 수 있었습니다. 

본래는 안드로이드 콘솔(ADB)와 드라이버를 받으면 쉽게 해결되지만 자칫 복잡해질 수 있어 덜 복잡한 방법으로 기술하겠습니다. 


준비물 

WINDOWS PC

DATA전송용 USB 케이블 

태블릿 

태블릿 과 pc를 usb로 연결 


1. 태블릿 환경구성 

태블릿 정보에서 빌드번호를 연타하여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 해 주세요 

개발자 옵션에서 usb 디버깅을 활성화 해주지 않으면 pc에서 ADB 를 통해 연결할 수 없습니다.  


2. PC 환경구성

안드로이드 STUDIO 다운로드 <--- 다운로드 링크 클릭 

설치는 뭐 인스톨이야 다음 다음 하시면 다 되는 거 아시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한 후 신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프로젝트 생성방법 <-- 신규 프로젝트 추가 방법 클릭 

뭐 CREATE A NEW PROJECT와 대충 아무거나 누르면 되지만 까다로운 분이 계실까 봐 링크 첨부합니다.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인터넷으로 파일들을 마구 받기 때문에 열릴 때까지 시간이 걸립니다. 다음 화면이 보일 때까지 일단 기다리세요.

개발자 도구 화면
저는 이 화면이 완전히 보일 때 까지 다운로드를 포함 약 30초 걸렸습니다. 걸리는 기간은 인터넷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로 오른쪽에 장비창이 보이지 않는다면 상단 메뉴에서 
Tools 클릭 > Device Manager 클릭을 하시면 됩니다. 

주요 확인사항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기본 드라이버로 선택된 장치라면 위 화면에서 장치의 정식 명칭이 나오고 연결된 상태를 알리는 녹색 불이 켜집니다. 장치 명칭이 이상하고 녹색불이 켜지지 않는다면 드라이버가 맞지 않는 것 입니다. 
드라이버는 대게 os 개발 도구에 포함되어있으므로 sdk를 받으면 해결되는 편 입니다. 아래를 쭉 따라가세요 

SDK 및 Platform-Tool다운로드 

장치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경우 'ADB'로 접속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장치 드라이버를 갖고 있는 'SDK'를 다운 받아야 합니다.

위 그림을 클릭해서 확대해보시고 순서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Tools -> SDK Manager 클릭 

Search 입력난에 SDK 입력 -> Android SDK 를 차례로 선택하시고 태블릿 os에 맞는 버전을 선택 후 Apply를 누르시면 됩니다. 


그 다음으로 SDK Tools 에 들어가셔서 Android SDK Platform-Tools선택 후 Apply 한 후 Android SDK Location 복사해주세요 


windows + r 키를 누르시고 붙여넣기 하신 후 엔터 치면 입력된 경로로 이동합니다. 


위 그림처럼 platform-tools 폴더에 들어가시면 adb.exe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로서 준비는 끝났습니다. 

3. UI  크기 조절하기 

이제 powershell 창을 열어 adb.exe 파일이 있는 위치로 이동 합니다. adb 파일이 있는 위치를 복사해주시고 powershell 창에서 'cd 경로'  이런식으로 cd라는 커맨드에 한칸 떼고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순서 
windows + r -> powershell -> 엔터 
붙여넣기 -> 엔터 
dir -> 엔터 

해당 위치에 adb.exe 파일이 있는지 확인

이제 디바이스가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density 명령을 통해 화면 크기를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커맨드는
.\adb.exe shell wm density [수치]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커맨드가 정상 작동하면 위 영상처럼 태블릿의 화면이 계속 변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사이즈를 찾았다면 글꼴이 너무 작거나 안 맞을 수 있으므로 해당 사이즈도 변경해주어야 한다. 

시스템 폰트를 본인에 맞게 조정한다.

powershell 창에서 
.\adb.exe shell settings put system font_scale [배율]f 를 입력

모든 조정이 끝났으면 .\adb.exe reboot 명령을 통해 재부팅을 수행한다. 

아참. Alldocube iPlay 50 Mini Pro Helio G99의 경우 이렇게 적용 할 경우 소프트웨어 제어버튼이 2개 나타나는데 런처를 설치하면 해결 됩니다. (저는 마이크로소프트 런처를 사용합니다.)

=====================================================
Density를 종종 해상도라고 하는 분들이 계신데 해상도는 size 라는 별도의 파라미터이고 
DPI라고 말씀하시는 분도 계신데 DPI 는 디스플레이의 물리적인 인치당 도트의 수입니다. 

Density 는 밀도라는 영문 단어입니다. 논리적으로 DPI와 매유 유사합니다. 하지만 엄연히 다른 수치입니다. 되도록 구분해서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상입니다.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긴 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5월 2일 월요일

DA# MARIADB, MYSQL 한글 깨짐 해결

개요 

개인적으로 공모전 준비나 DAP 시험 준비를 위해 'ENCORE-DA#'을 사용 하던 중 UTF-8 인코딩 타입의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발견되었고, 이에 관한 기술 지원을 받기 위해 문의했으나, 상당한 시일이 걸리기도 하고, 자료를 찾는데 애먹기도 해서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먼저 mysql 이나 mariadb의 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에서 모두 utf-8로 설정이 되어있는지 확인 하신 이후에도 안될 경우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해당 부분이 설정되지 않은 분들은 타 블로거의 글을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저의 경우 utf-8을 모두 맞췄으나 da#에서 한글이 깨지는 케이스에 대한 설명 입니다. 설정이 잘 되어있기에 dbeaver 나 콘솔에선 한글이 정상으로 보이지만 da#만 깨집니다. 

utf-8 설정 참조 블로그 글


1. DA#에서 필요한 MARIADB(MYSQL) DRIVER 

WINDOWS 기반의 DA#에서 MYSQL이나 MARIADB에 접속하려면 우선 ODBC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하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이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는 항목이 비어져 있습니다. 

DA# 리버스> DB리버스 > 데이터베이스 접속 화면

1) odbc 드라이버 선택

직접 테스트를 수행해본 결과 mysql 5.3.14(32bit) 이상의 버전이 설치 되어있어야 합니다. 처음 3.x 버전을 사용했을 경우 UTF-8 인코딩으로 테이블과 데이터베이스가 모두 설정이 되어 있어도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 합니다. 또한 os가 64bit 버전이어도 da#프로그램이 32bit 버전이므로 32bit버전을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드라이버 다운로드 버전

MYSQL DRIVER DOWNLOAD 링크  <--- 이 부분을 클릭하셔서 정식 MYSQL ODBC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2) 드라이버 설치 

8. 대역의 32bit 드라이버 설치는 별다른 선택이나 옵션 없이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5.x버전 드라이버는 visual studio 패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visual studio 2013 x86 redistributable 설치 안내
visual studio 2013 x86 다운로드 페이지


visual-studio 다운로드 사이트
2013 x86을 선택하고 다운로드 후 설치는 그냥 다음만 누르면 되므로, 드라이버와 visual studio를 모두 설치해줍니다. 

3) odbc 설정하기 

windows 시작 버튼을 누르고 odbc를 입력하면 odbc 드라이버 설정을 수행하는 화면이 등장 합니다.  DA#에서는 32bit 버전이 필요하기에 32bit 환경 설정을 수행해 주세요 
odbc 드라이버 연결 창
ODBC 드라이버 설치 시 3.x 버전에서는 한글이 깨지는 이유는 딱 봐도 알 수 있습니다. 5.x버전 드라이버에서는 ANSI와 UNICODE 형식의 드라이버를 구분해서 지원하는 반면 3.x버전 드라이버에서는 구분이 없는 것으로 보아 둘 중 하나의 형식만을 지원 합니다. 

DA#에서는 Unicode 드라이버 형식만을 지원하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3.x 버전은 ansi 만 지원 하겠네요 . 테스트를 해보면 알 일입니다. 


본인의 프로젝트 정보에 맞춰 접속 정보를 입력합니다. 여기서 Data Soruce Name 이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명칭을 정의하는 부분입니다. 실제 db와 달라도 괜찮습니다.  IP, PORT, USER, PASSWORD를 넣고 TEST를 누르면 DATABASE 목록이 조회 됩니다. 여기서 접속할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고 ok를 누르시면 환경이 저장 됩니다. 

4) da#에서 테스트 


da# 모델러를 실행 후 리버스 -> db리버스 를 누르면 생성되는 팝업창에서 mysql과 접속정보를 입력해줍니다. 데이터 소스는 사전에 odbc를 등록한 목록의 명칭이 선택창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oracle 을 리버스 할 경우 테이블을 선택하는 기능이 있는데 mysql은 이상하게 해당 기능이 보이질 않습니다. 


3.x 버전 odbc설치시 한글 깨짐 상태


mariadb odbc 5.3 windows 32bit 설치시 정상


결론 

mysql odbc는 3.x 버전에서는 한글 깨짐,

5.x 이상 버전의 windows 64bit 용 드라이버는 da#에서 인식되지 않음.

5.x 버전의 windows 32bit 용 드라이버는 unicode와 ansi 모두 한글 정상 지원 

이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2년 4월 14일 목요일

ebay 계정 해킹을 당한 후기.

 1. 개요 

오래 고민한 제품이 있었습니다. 자전거 캐리어 인데요. 트렁크 용 캐리어는 대체로 너무 못생기고 지저분해서 견인볼 캐리어로 가자 하니.. 보관이나 탈부착의 번거로움이 예상되고, 그냥 탈부착 안하고 달아 놓고 쭉 사용해도 별다른 문제가 없을 제품을 그간 알아보고 있었습니다. 

해당 제품이 국내에서는 너무 비싸기도 하고, 관부가세를 포함하더라도 15만원 가량의 가격차가 있어 직구를 하기 위해 오랜만에 이베이에 들러 제품도 고르고 맞는 가격대를 선택해 결제까지 눌렀는데 결제를 하고 보니 무언가 이상했습니다. 주소가 전혀 익숙하지 않은 문자로 구성 되어 있었습니다. 


2. 해킹된 주소 


배송 주소에 국가는 분명 한국으로 써있지만 KOMSOLSKA 1-1 에 저는 살지 않습니다. 게다가 한국 바로 위에 써있는 러시아! 

서둘러 결제 취소를 하고,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판매자나 기존 ebay와 주고받은 메시지를 확인 하려 했는데, 해커가 동시에 접속을 하고 있던 건지 메시지 목록이 모두 삭제되었습니다. ebay에서는 안그래도 2014년 해킹 사례가 있어 결제 용 paypal비밀번호와 다르게 설정해두었고, 개인 신용카드 등록을 해두지 않아 다행이었습니다. 

결제가 취소되는데 3시간 가량이 걸린 것 이외에 비밀번호와 주소를 다시 변경한 것 약간의 번거로움 이외에 피해는 없었지만, 습관대로 배송지 주소를 확인하지 않았다면, 혹은 신용카드를 ebay에 등록 해두었다면 아마도 금전적 손해를 보지 않았을 까 합니다. 아! 해외결제 취소 수수료가 일부 발생할 수 있겠네요. 이 부분이 피해인 것 같습니다. 


3. 주의사항 

ebay는 2014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러시아에 공격을 받고 있는 모양입니다. 신용카드는 되도록 사이트에 직접 등록하지 말고 paypal에 등록해서 사용하시고, 해외 인터넷 쇼핑몰에서 사용하는 비번과 결제 용 비밀번호를 별도로 관리하셔야 피해를 보는 일이 없습니다. 

알리 익스프레스에 설정된 개인 카드도 제거해야겠습니다. 이상 짧은 해킹 당한 후기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1년 10월 17일 일요일

첫 nas 구매 6. nas4dual의 feed 다운로드 시간을 직접 정해보자.

개요

nas4dual을 사용하면서 원하는 것들에 대한 직접적인 설정 방법을 계속해서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이번이 6회 째네요 이번에는 rssfeed에 대한 다운로드 시간을 직접 정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해보겠습니다. 

feed 다운로드 시간을 직접 정해보자 

flexget 프로그램은 linux 자체의 crontab 이라는 스케줄러를 통해서 실행됩니다. 하지만 nas4dual에서는 이 crontab에 대한 지원이 너무도 적습니다. 

4개의 설정밖에 없는 rssfeed 검색 크론탭 설정

linux의 크론탭은 5개의 자리수로 구성됩니다.

                        월        요일

이런 형태의 자리수에 채워진 숫자대로 반복이 정해지는 겁니다. 따라서 목요 드라마만 다운받고 싶은데 매일 다운로드를 수행한다는 것도 자원 낭비이고, 혹은 매일 오후 3시에 돌았으면 하는데 그 시간을 설정할 수 없는 현행의 프로그램으로는 약간의 개선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현재의 crontab은 아래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명령어 : crontab -l 

결과 : 

0       *       *       *       *       /etc/rss.sh exec > /dev/null 2>&1 &
26      19      *       *       *       /sbin/hwclock -w
26      19      *       *       *       /sbin/ntpdate clock.iptime.co.kr
26      19      *       *       5       /sbin/ez-ipupdate -a 192.168.219.104 -u
이 명령줄을 각각 해석해보자면 이렇습니다. 
0       *       *       *       *      
0분   매시  매일 매월   모든요일

26      19      *       *       *  
26분  19시   매일  매월  모든요일 

26      19      *       *       5  

26분  19시  매일  매월   금요일 요일은 0-7 월-일 요일입니다. 

3시간 마다 옵션을 선택했다면 시간 부분이  */3 으로 되어있을것입니다.

저는 집에 가기 전에 오늘 볼 에니메이션을 다운받아놓고 컴퓨터가 대기했으면 좋겠습니다. 따라서 매일 오후 1시경에 시작해서 제가 보고싶은 것들을 모두 다운로드하고 영상이 기다렸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인터페이스에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크론 스케줄러 파일의 위치는  /var/spool/cron/crontabs/root 파일입니다. 따라서 vi 편집기를 통해 이 녀석을 고칩니다. (원래는 crontab -e명령을 통해서 할 수 있지만 명령이 안됩니다.) 

telnete 접속후 다음 명령을 수행합니다. 

명령어 :  vi /var/spool/cron/crontabs/root 

crontab 편집화면

vi 편집기에서는 키보드의 i키나 insert키를 눌러 화면 하단에 --insert--라는 마크가 나와야 수치를 변화 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녹색 커서가 나오는데 이 커서의 앞 부분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뒤쪽이 아닌 앞입니다. 보통의 편집 모드와 약간 다릅니다. 

저는 새벽에 방영한 녀석들과 낮부터 초저녁까지 방영하는 녀석들을 매일 2번 찾아보고 싶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설정 하였습니다. 

저 앞의 숫자에 대한 편집이 완료 되었다면 키보드의 esc 키를 한번 누른 후  : 를 입력하고 x를 입력하고 엔터를 입력하면 저장 됩니다. 
크론 편집 화면 탈출
esc 키를 누르면 하단의 --Insert--마크가 사라집니다.  그상태에서 : 누르고 x 누르고 엔터 

크론탭에서 지원하는 문법은 쉽습니다. 다중 지정은 , 를 통해서 반복은 / 를통해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30분 마다 반복은 */30 * * * * 
10분 30분 반복은 10,30 같은 식입니다. 

제타위키를 보셔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021년 10월 15일 금요일

첫 nas 구매 5. nas4dual의 rss 설정 제대로 알아보자.

 개요 

nas4dual의 설정 중 rss 피드를 설정하는데 정확한 정보를 찾는것이 너무 어려워 문서를 또 한장 쓰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nas 구매에서 가장 큰 역할로 꼽은 것이 rss 다운로드 기능이기에 이것에 대한 설정을 정확히 할 수 없을 경우 여러 불편함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RSS 추가 및 설정 방법

일단 RSS라는 것은 토랜트의 목록을 관리하는 서버입니다. 한국 방송보다는 일본 에니메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보는 것을 좋아하기에 RSS는 필수이며 관리가 필요없이 한 번 등록하고 반 영구적으로 (해당 RSS가 사라질 때 까지) 사용하는 항목입니다. 관리가 필요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기에 한번의 설정으로 가장 큰 효과를 봐야 합니다. 

가. RSS 피드 등록 

IPTIME 자체 UI의 FEED 목록
RSS 피드는 TORRENT 관리의 RSS FEED 설정을 통해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RSS FEED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는 FLEXGET이라는 LINUX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인터넷에 본인이 원하는 RSS를 검색해서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되어있습니다. 간단하게 주소를 추가하면 되므로 입력항에 대한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또한 제목도 필요가 없습니다. 

나. FEED 필터 등록 

피드는 하루에도 수십,백 건의 자료가 올라오는데 RSS 피드만 추가 할 경우 해당 자료 전체 가 다운로드 됩니다. 방영되는 에니를 전부 보는 저로서는 피드만 추가하면 되지만 FEED 필터를 추가하는 설명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FEED 필터는 FEED에 올라오는 수많은 자료 목록 중 본인이 원하는 자료만 검색할 수 있는 포함 단어, 그리고 본인이 원하지 않는 단어를 제외하는 제외 단어 등을 여러개 등록할 수 있습니다. 파일 하나마다 허용되는 단어와 허용되지 않는 단어를 목록으로 화 해서 관리합니다. 등록된 단어는 하나 하나마다 허용 , 거부 권한을 갖는 목록으로 작성되어 TORRENT 하나당 그 내용과 제목을 기준으로 검색을 수행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포함단어 '바보', '멍청이'
제외단어 '똥개' 
라고 작성 한 경우 TORRENT의 제목이나 내용에 '바보나 멍청이'가 TORRENT는 자동으로 추가 되지만, '멍청이 똥개' 는 다운로드 되지 않습니다. 똥개가 들어가있기 때문이죠. 

뭐 RSS라는 것을 이미 알고 계신분이 FEED 등록을 하기에 불필요한 설명 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처음이신 분들은 아셔야 합니다. 그리고 전 RSS를 이미 사용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FLEXGET을 처음 써보기에 필터링 되는 방식을 알아내는데 상당한 시간을 소요했습니다. 일단 FLEXTGET이 필터링을 담당한다는 것을 알아내는 것 까지만 해도 3시간이 걸렸습니다. 

이러한 피드 필터를 등록하면 RSS 내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파일만 받을 수 있으므로 한번의 설정으로 필요한 파일을 지속적으로 공급 받는데 도움이 됩니다. 

feed filter 등록시 유의사항

feed filter는 매우 유용하지만 종종 오탐을 하기도 합니다. 완성된 단어를 꼭 사용해야 합니다. 영문 단어의 약어를 합친 경우 마그넷 링크를 오탐하여 원치 않는 자료가 다운로드 됩니다. 예를 들자면 나혼자 산다를 영문 약자로 'AL'이라고 했을 경우 같은 거죠. 사람도 이해하기 힘든 약어는 컴퓨터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torrent의 설명 부분에 마그넷 링크가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마그넷 링크는 임의 영문 숫자의 조합으로 만들어지기에 약어와 겹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다. FEED필터가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FEED 필터는 또다시 TELNET을 통해 nas4dual에 들어가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간 단위로 crontab이라는 리눅스 자체의 스케쥴링을 통해서 작동하기 때문에 해당 시간 외엔 프로세스에서 조회할 수 없습니다. 
telnet의 사용법을 모르시는 분은 이전 게시물을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크론탭에 예약되어있는 정보를 확인합니다. 

명령어 : crontab -l 

결과 : 

0       *       *       *       *       /etc/rss.sh exec > /dev/null 2>&1 &
26      19      *       *       *       /sbin/hwclock -w
26      19      *       *       *       /sbin/ntpdate clock.iptime.co.kr
26      19      *       *       5       /sbin/ez-ipupdate -a 192.168.219.104 -u

위에 보이는 결과 목록 중 /etc/rss.sh exec 가 nas4dual에서 rss 피드를 호출하는 녀석입니다. 뒤에 따라 붙은 > /dev/null 2>&1 &는 프로세스에 대한 호출 로그를 남기지 않겠다. 그리고 백그라운드 서비스로 부르겠다 라는 명령입니다. 

따라서 /etc/rss.sh exec명령을 통해 호출해보겠습니다.  

2021-10-15 21:06:03 VERBOSE  task          rss340409313    ACCEPTED: `바보 똥개.mp4` by regexp plugin because regexp '바보' matched field 'description'
2021-10-15 21:06:03 VERBOSE  task          rss340409313    REJECTED: `바보 똥개.mp4` by regexp plugin because regexp '똥개' matched field 'description'
명령을 수행하면 위와같이 목록에 있는 명령으로 각각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명령어에 보면 regexp 라는 것이 있는 것으로 보아 정규식도 활용 가능 한 것으로 보입니다. 

라. RSS 파일 및 필터 위치 

RSSFEED 파일은 torrent다운로드 폴더로 설정한 디스크의 한단계 위에 존재합니다. 저는 HDD1의 torrent라는 폴더에 다운로드 위치를 설정했는데 그 바로 위인 /mnt/HDD1/.rss_cfg/폴더에 해당 파일들이 있습니다. 
명령어 : /mnt/HDD1/.rss_cfg/
 ls
결과 :
rss340409313.yml  rss340407888.yml  received          flexget.log       db-config.sqlite  config.yml

이렇게 여러개의 파일이 있는데 db-config.sqlite는 아마도 저장이력이나 환경정보를 갖고있는 데이터 파일인것 같습니다. 

config.yml은 등록된 rss-feed 목록을 관리하는 환경 파일입니다. 등록된 rss-feed 주소 만큼 늘어나니 건들지 않는게 좋습니다. 

rss와 숫자로 이루어진 yml 파일이 필터링이 포함된 피드 파일입니다. 그중 하나를 열어보자면 내용은 이렇게 구성됩니다. 

명령어 : vi rss340409313.yml 
결과 : 
rss: https://토랜트 rss 주소/
verify_ssl_certificates: no
regexp:
accept:
- '바보'
- '멍청이'
reject:
- '똥개'
magnets: yes
exec:
auto_escape: yes
on_output:
for_failed: "/usr/python3/bin/magnet_location.sh '{{url}}' '{{task}}'"

여러 단어를 등록해야 하는경우 엑셀이나 단어장에 - '검색어' 형태의 목록을 만들어두셨다가 vi 편집기를 통해 일괄 등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참고 

web 인터페이스에서 보는 원본 rss 설정 파일은 이곳에 있습니다. 두곳을 모두 변경해야 합니다. 
 cd /etc/property/RSS/

마. upnp가 지원되지 않는다면 재부팅은 되도록 삼가하자 

torrent 의 자료를 제공하는 측 (peer) 가 접속하는 포트는 nas4dual이 재실행 될 때 마다 무작위로 선정됩니다. 공유기에 DMZ 설정을 해놓게 되면 보안에 취약한 nas4dual을 통해 별별 놈들이 다 들어올 수 있으므로 저는 nas를 DMZ으로 설정해놓지 않았습니다. 특정 포트만 인터넷에 공유해놓고 그마저도 포트포워딩을 통해 원본 포트와 다르게 변경을 해놓았는데 재부팅을 할 경우 해당 포트가 변경됩니다. 

포트가 변경되면 다운로드 속도가 줄어듭니다. 
upnp를 설정한 경우는 문제가 없습니다.  


transmission 시작시 무작위 포트 선택이라는 옵션은 해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재부팅을 하면 한번에 다운로드 받는 파일 수도 변경되므로 torrent에 대한 설정 변경을 최소화 하기위해 재부팅을 저는 안하고 있습니다. 재부팅시마다 연결 포트를 매번 변경해준다는 선택지도 있습니다. 하지만 귀찮습니다. 
2023transmission qt pc버전을 통해 무작위 포트가 해제 됩니다. 

기타 주의사항 

windows에서 토랜트의 다운로드 상태를 보려면 transmission-remote gui라는게 필요해집니다. 여기에서 토랜트에 대한 환경설정을 할 경우 대부분 무시되거나, 환경 설정이 꼬이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안드로이드나 windows 상에서 환경을 변경하시면 아니되옵니다. rss가 다운로드 되지 않을 경우 torrent다운로드 폴더를 다른 디스크 상으로 바꾸면 다시 정상 작동할 것으로 생각 됩니다. (안에 들어있는 .session 폴더나 .python 폴더 .rss_cfg 폴더의 설정이 어딘가에 중복되서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 

디스크 경로를 바꿀 수 없을경우 torrent 서비스를 중지하시고 .session .python .rss_cfg 3개의 폴더를 제대로 지우시고 토랜트 서비스를 재실행 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한 가지 설정만큼은 잘 되는 앱이 있네요 windows 10에서 torrent 다운로드 개수를 변경 할 수 있는 앱입니다. 트랜스미션bt <--한번에 다운로드 되는 개수만 늘려줍니다. 다른건 다 적용안되요. 
다만 이 다운로드 개수는 재부팅하면 다시 초기화가 됩니다. 

저는 지난번 설정에서 다운로드 속도에 대한 상향을 통해 18메가 언저리는 꾸준히 나오는데 그 이상은 잘 안나옵니다. 26메가는 아주 가뭄에 콩나는 수준으로 나와요. 회선은 500Mbps 니까 /8해서 62.5MB/s가 최대인데 반절도 못씁니다. 공유기를 바꾼 이후 더 나오면 캡처해서 올리겠습니다. archer ax73을 구매하였으나. 대한통운 택배 부분파업의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10개 파일을 동시 다운로드 해도 피어수가 많지 않아서인지 cpu는 20% 이내로 쓰네요. 

주의사항 
기타설정 -> 외부 접속 관리를 설정 할 경우 
종종 rss 에서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했습니다. 
 Unable to download the RSS for task rss340932804 (https://사이트rss.php?filter=15&minMB=2000): HTTPSConnectionPool(host='사이트, port=443
위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발생할 경우 국가 차단 설정에서 해당사이트가 필터링 되는것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nas4dual의 국가 차단의 IP 대역이 실제 국가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있습니다. 

2021년 10월 12일 화요일

첫 nas 구매 4. nas의 속도 향상을 위한 Link Aggregation을 지원하는 장비 정리 2021.10

 개요 

iptime nas4dual 제품을 구매한 이후로 여러가지 머리가 아플만큼의 정보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중 nas의 통신 속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부분은 바로 Link Aggregation이 되는 공유기나 switch가 되겠습니다. 

nas4dual은 기존 iptime 제품과 다르게 외장하드 모드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iptime 공유기에 들어있는 나스 가속 모드를 쓸 수 없습니다. 만들면서도 자기네 판매 상위에 있는 공유기와 호환성을 생각하지 않고 만든 것을 보면 참... 상생을 중시하는 회사구나 싶습니다. 

그런 관계로 현재 가성비 최고의 조합은 raid 도킹스테이션 + ip타임 나스가속 공유기 가 됩니다. 가성비를 좋아하는 저로서는 뼈 앞픈 실책입니다. 같은 30만원을 썼으면 최고의 조합을 얻을 수 있었는데 최악의 선택을 해버린겁니다.

하지만 이미 사서 데이터도 다 옮겨버린거 다시 옮기기도 귀찮고 데이터 이동 시간만 3일이 걸리는 관계로 포기하고 link aggregation을 지원하는 장비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회사별로 정리해보겠습니다. 

Link Aggregation은 3가지 명칭을 더 갖고 있습니다. 

LCAP, LAG 또는 IEEE 802.3ad 사람 해깔리게 말이쥬 


IPTIME

IP 타임에서는 간이 나스 가속을 하는 기능은 있어도 nas4dual 에서 필요한 듀얼 링크의 Link Aggregation 지원 공유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스위치 제품군에서만 존재 합니다. 
IPTIME QNA 질답 <-- 클릭 

단 2개의 제품만 보이는데 아무리봐도 상생을 너무 좋아하는 기업같습니다. 



TP-LINK 

티피링크는 지원해주는 제품이 가장 많습니다. 국내 판매되지 않는 제품이나 판매중이어도 공개 재원상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제품은 취소선을 그어놓겠습니다.. 
Archer C2300( V1 ) , Archer C5400( V2 )해외 , Archer C3150 V2해외, Archer C4000( V2 V3 )해외, Archer AX73 , Archer A20( V1 V3 ) 해외, Archer AX50( V1 ) 재원없음, Archer C3150( V2 ) 재원없음, Archer AX6000( V1 ) , Archer AX3000( V1 ) 재원없음, Archer A2300( V1 )해외 , Archer C5400X( V1 )해외

여기에서 약간은 주의해야 할 점이 바로 버전정보가 있다는 말이죠. 제품명만 보고 무턱대고 샀다가 지원이 안될 수 있습니다. 상품 설명을 보실 때 버전 정보를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혹은 상품 설명중 Link Aggregation 정보가 있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현재 국내 구매 Link Aggregation 이 지원되는 가장 싼 제품입니다. 



이 제품은 특히 주의하셔야 합니다. 국내 v1과 다른 버전이 섞여있어 지원되는 판매자가 있고 그렇지 않은 판매자가 있습니다. 링크 정렬이라고 달아놨네요 


ASUS 

아수스는 홈페이지에 RT-A88U제품이 된다고 써있지만 국내에는 재원상 써있지 않기에 이것 역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사진을 첨부하지 않습니다. 

NETGEAR

넷기어에서도 홈페이지에 1개의 제품이 검색됩니다. R8500


Link Aggregation 이 지원되는 장비에 대해 저가부터 고가 제품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듀얼랜이 지원되는 nas 서버 사용자에게는 필수적인 제품이 될 것 같은데 가정용으로 나오는 제품 그리고 저가 제품은 없어도 너무 없네요. 

현실적으로 30만원으로 고속 스토리지와 고속 네트워크를 둘 다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은 iptime 간이나스 공유기+ raid 지원 4베이 이상 도킹스테이션이며  그 외에는 50만원 이상의 투자를 해야만 하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디스크 제조사인 마샬 도킹스테이션 5베이 + iptime AX2400M 같은 제품의 조합이 가성비상으로 최고가 아닐까 합니다. 만 이미 사서 데이터 이동까지 다 한거 어쩝니까. 티피링크 ax73 정도 하나 들여야겠습니다. 들였습니다. 


TP-Link AX73(AX5400)
TORRENT 속도와 5Gbps 무선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졌습니다. 
휴대폰 5g 측정 다운로드 244Mbps


torrent 속도 약 30MB/s
집 내에서의 업다운 속도도 빨라졌습니다. 
다운로드

업로드
80-95 사이를 꾸준히 내줍니다. (기존 64mbps) 


이상입니다. 즐거운 nas 생횔 되세요.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21년 10월 11일 월요일

첫 nas 구매 3. 안드로이드에서 동영상 자막보기

 개요 

지난 목요일 설치한 NAS에서 외부에서 미디어를 보다보니 자막이 보이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책을 기술해보겠습니다. 순서는 IPDISK 설정 -> MX플레이어 설치 -> CX 파일 탐색기 설치 및 설정 순으로 진행됩니다. 불필요하거나 너무 쉬운 부분은 그냥 생략하겠습니다. 


1. IPDISK 설정

IPDISK 설정법은 여러 분들이 공유하고 있으므로 대체하겠습니다. 

IPTIME NAS설정 <-- 궁굼하면 클릭 


2.MX플레이어 설치 

이 부분도 PLAY STORE 에서 그냥 MX 플레이어를 설치하면 됩니다. 하지만 검색하면 잡다한 앱들이 같이 조회 되기에 일단 화면을 첨부합니다. 

mx 플레이어
딱 위 사진과 같은 플레이어 명칭과 제작 업체 제품을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3. CX 파일탐색기 설치 및 설정 

CX 파일 탐색기 역시 설치는 동일 환경설정도 간단합니다. 

cx 파일탐색기
위 사진도 유사한 어플이 검색되는 관계로 딱 요거 다운받으라고 올려놓습니다. 

다음은 설정입니다. 설정도 어렵지 않고 인터페이스도 제법 쉽게 만들어져서 사용감이 좋은 앱입니다. 


일단 cx파일 탐색기를 구동하시고 네트워크 탭을 누르고 새 저장소를 클릭합니다. 
다음으로 본인의 ipdisk 주소와 FTP를 선택하시고 사용자명,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IPDISK 연동은 완료 되었습니다. 다음은 플레이어 설정입니다. 



다시 메인화면으로 돌아가셔서 오른쪽 위에 ... 을 누르면 위와같이 설정 버튼이 팝업됩니다. 



설정 창에 들어가면 동영상 플레이어에 체크되어 있는 부분을 해제하여 기본 동영상 플레이어가 작동하지 않도록합니다. 또한 위쪽의 기본앱을 눌러서 등록된 기본앱이 있을 경우 제거합니다. 


다시 메인페이지로 돌아가서 본인의 IPDISK를 눌러보면 폴더를 탐색하실 수 있고 이제 영상에서 자막이 자동으로 추가됩니다.
영상 파일과 자막 파일 

 다만 영상명칭과 자막의 명칭은 동일하게 (확장자 제외) 구성 되어있어야 합니다. 또한 자막 파일과 영상 파일은 같은 폴더 내에 있어야 합니다. 

구성이 완료되면 위와 같이 영상 파일 로드시 자막 파일이 같이 로드되어 나옵니다. 

이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